운동의 장점은 그야말로 다양합니다.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또 우울증을 쫓는데도,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음식도 과식하면 탈이 나고 영양제도 잘못 먹으면 부작용이 나타나듯 운동도 잘못하면 혈관을 팽창시켜 심장에 무리를 줄 수 있지요. 또한 중풍 발생률도 증가시킵니다.
특히 50세 이후에는 반드시 피해야 할 운동이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 매일하는 운동이 혹시 내 몸을 망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자신의 몸을 망치는 최악의 운동법을 소개합니다.
1.매일 하는 고강도 운동
대표적으로 테니스, 마라톤, 철인 3종 경기등입니다.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이겨내기 위해 이런 고강도 운동을 습관처럼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아요. 그런데 자동차도 매일 최고 속력으로 고속주행을 하다보면 망가집니다.
매일 고강도 운동을 하면 세포의 노화가 급격히 찾아옵니다. 운동을 하면서 만들어진 대량의 활성산소가 노화를 촉진하고 관절과 근육, 피부, 내장기관의 수명도 단축시키죠. 특히 중년이 되면 운동 후 회복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만큼 운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매일 하는 운동으로는 숨이 약간 차는 정도의 중등도 운동을 30분씩 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2.유산소 운동만 열심히
당뇨환자들이 혈당을 떨어뜨리기 위해 식사 후 걷기, 뛰기,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운동을 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근육감소가 빠르게 일어나는 중년에 유산소 유산소 운동만 해서는 안돼요. 허벅지가 가늘어지고 하체 근육이 빠지면 빠질수록 유산소 운동만으로 혈당만 조절하려면 밥먹고 하루 종일 운동만 해야 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혈당을 왕창 끌어다가 소비하는 근육 보유량이 충분하면 운동의 효율이 급상승하죠. 근육량이 적은 여성도 마찬가지입니다. 근육 운동없이 유산소 운동만 하면 체중관리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50세 이후에는 척추와 무릎관절이 약해지면서 조금만 걸어도 허리, 무릎에 통증이 오고 자세가 굽어질 수 있어요. 따라서 중년 이후 근육 운동은 필수입니다.
3.내 몸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운동
헬스장에 가면 거꾸로 서는 운동기구가 있지요. 고혈압이 있을 때 이런 운동을 하면 자칫 뇌가 피로 쏠리면서 뇌출혈이 올 수 있어요. 또 뇌혈관이 풍선처럼 부풀어 꽈리를 틀고 있는 뇌동맥류가 있다면 무리하게 무거운 것을 드는 근육운동이 독이 될 수 있어요.
무릎관절이 약한 사람이 등산을 하거나 계단오르기 운동을 꾸준히 하면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아요.
특히 산에서 내려올 때에는 스틱을 사용해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또한 척추디스크 질환 환자의 경우 절대 윗몸 일으키기, 누워서 다리 들어올리기 등을 해서는 안됩니다. 복근에 힘이 없는 상태에서 상체를 일으키거나 하체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하게 되면 그 하중이 오롯이 목과 허리로 가면서 디스크가 쉽게 뒤로 밀려나올 수 있어요.
50세 이후에는 반드시 내 몸 상태를 고려해서 운동해야 합니다. 중년이 되면 혈기가 쇠하기 때문에 운동하는 만큼 비례해서 먹는 것도 잘 드셔야 돼죠. 운동도 열심히 하는 만큼 식사도 잘 챙겨야 운동이 효율적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기억해 두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거리 두는 혼산, 둘산 등산족 대세 (0) | 2021.09.17 |
---|---|
땅콩이 심혈관.뇌졸증에 기여한다고 일본 심장학회서 발표 (0) | 2021.09.16 |
마음 속 음욕이 나쁜 것일까? 즉각 판단하지 말라 (0) | 2021.09.13 |
여성들의 은밀한 행위...여전히 보수적 시각:영국여자들 연구자료소개 (0) | 2021.09.10 |
손가락.손목이 불편해지는 5060이 많이 걸리는 손목 건초염 (0) | 2021.09.09 |